트럼프의 대만 반도체 흑자 지적, 외국인 반도체 대형주 순매도하며 지수 약세.

2024. 7. 17. 21:49경제이야기

반응형

[장 중 시황] 트럼프 트레이딩 지속, 반도체 무역흑자에 불똥튈까? [FICC리서치부 전략/시황: 이경민]

- KOSPI는 14시 30분 현재 -0.61% 하락한 2,848.58pt.
트럼프의 대만 반도체 흑자 지적, 외국인 반도체 대형주 순매도하며 지수 약세.
외국인 -3,049 억원 순매도 / 기관 1,054 억원 순매수 / 개인 1,791 억원 순매수.

미국증시 상승과 순환매 분위기임에도 불구하고, 기술주 약세를 보인 모습과 트럼프 후보 인터뷰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형주 매도세로 지수 하락 중.

트럼프는 오늘 새벽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대만이 미국의 반도체 사업을 가져가 부를 축적하였으며, 대만 방어를 위해 돈을 지불해야한다고 언급. 한국에 대해 직접 언급하지 않았으나, 엔비디아 등 미국 기술주 하락과 맞물려 외국인 매도세. 금리, 환율 등 유동성 여건 양호함에도 트럼프 트레이딩으로 하락 이어지며 지수약세.

- 아시아증시는 트럼프 인터뷰 영향으로 대만, 일본 등 반도체 기술주 하락 영향으로 약세.
대만가권지수(-1.41%), 일본니케이지수(-0.44%), 중국상해종합지수(-0.47%), 홍콩항셍지수(-0.06%) 등 약세. 트럼프 인터뷰에서 대만 방위문제 등 언급되며 중국증시에도 영향.

- 원/달러 환율 달러 인덱스 하락한 영향으로 -3.8원 하락한 1381.2원

- 업종별로는, 섬유,의복(+10.59%) F&F 워너브라더스 영업권 인수로 상승하며 업종 견인, 의약품(+2.65%), 건설업(+2.46%) 강세. 반면, 의료정밀(-3.76%), 기계(-1.66%), 전기,전자(-1.65%) 약세

건설 및 건축 자재주 강세. 현대건설(+4.87%), GS건설(+3.65%), 한일시멘트(+2.56%) 등 금리인하 기대와 서울 주요지역 부동산 가격 상승 등 기대감에 반등. 곧 발표될 체코 원전 수주 기대감 함께 작용.

화장품아모레퍼시픽(+8.21%), LG생활건강(+2.34%), 한국콜마(+2.56%)등 비중국 수출 실적 호조 기대감에 강세.

반면, 반도체 수출 대형주 하락하며 지수하락 견인.
SK하이닉스(-4.29%), 한미반도체(-5.23%), 삼성전자(-0.80%).

이차전지 및 자동차 업종 등 대형주 트럼프 당선 시 전기차 세제혜택 소멸 우려에 약세 지속되며 KOSPI 지수하락 가세, LG에너지솔루션(-2.31%), 현대차(-2.37%), 기아(-2.28%)등 약세.

- KOSDAQ 832.22pt, -0.88% 하락.
출판·매체복제(+0.51%), 종이·목재(+0.40%) 상승. 반면, 기계·장비(-3.48%), 비금속(-3.29%) 약세.

[대신증권 투자전략/시황 텔레그램 채널]


반응형